맨위로가기

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체코슬로바키아 분리 이후 1993년에 창설되었다.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6위를 기록했으며, 이후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첫 메달을 거머쥐었다. 2000년과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2002년과 2003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며 전성기를 구가했다. 2024년 기준, 크레이그 램지 감독이 이끌고 있으며, 미로슬라프 샤탄, 파볼 데미트라 등 뛰어난 선수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캐나다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획득한 아이스하키 강국으로, NHL 선수들의 참가 허용 여부에 따라 국제 대회 성적 변화를 겪으며 세계 최정상급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러시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은 소련 시절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으나,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에 의해 모든 대회 참가가 중단되었다.
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별칭Naši chlapci (우리 아이들)
협회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연맹
총감독미로슬라우 샤탄
감독크레이그 램지
코치페테르 프뤼하우프
얀 파르다비
안드레이 포트코니츠키
주장토마시 타타르
최다 출전도미니크 그라냐크 (184)
최다 득점미로슬라우 샤탄 (85)
최다 득점 포인트미로슬라우 샤탄 (162)
홈 경기장온드레이 네펠라 아레나
IIHF 코드SVK
IIHF 최고 랭킹3위
IIHF 최고 랭킹 날짜2004년
IIHF 최저 랭킹11위
IIHF 최저 랭킹 날짜2017년
팀 색상흰색, #0B3C81, #B3261F
경기 정보
첫 경기 (2공화국)2–2
첫 경기 (1공화국)보헤미아 12–0 슬로바키아
(1940년 2월 11일 -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최대 점수차 승리 (2공화국)20–0
최대 점수차 승리 (1공화국)슬로바키아 6-1 크로아티아 [[파일:Flag of the State of Slovenes, Croats and Serbs.svg|22px]]
(1941년 2월 9일 - 슬로바키아 브라티슬라바)
최대 점수차 패배 (2공화국)8–0
최대 점수차 패배 (1공화국)보헤미아 12–0 슬로바키아
(1940년 2월 11일 -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세계 선수권 대회
참가 횟수30
첫 참가1994년
최고 성적2002년 금메달
올림픽
참가 횟수8
첫 참가1994년
메달[[파일:Bronze medal.svg|16px]] 동메달: (2022년)
통산 기록
통산 전적388–307–49

2. 역사

체코슬로바키아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이 결성되었다.[1][2][3][4] IIHF는 이전 체코슬로바키아 팀 선수 중 슬로바키아인이 더 적었기 때문에 슬로바키아가 풀 C에서 국제 경기를 시작해야 한다고 결정했지만, 슬로바키아는 하위 풀에서의 경기에서 1996년까지 풀 A로의 승격을 연이어 달성했다.[1][2][3][4]

슬로바키아의 엘리트 아이스하키 대회 첫 출전은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이었다. 페테르 슈ť아스니를 중심으로 한 슬로바키아는 조별 예선에서 3승 2무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지만, 8강전에서 연장전 끝에 러시아에 패했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과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슬로바키아는 경기 일정 충돌로 인해 예선 라운드에서 내셔널 하키 리그(NHL) 선수들을 기용할 수 없었다. 이는 모든 작은 국가에 영향을 미쳤지만, 최고의 선수들이 NHL 팀 소속이었던 슬로바키아에게는 큰 타격이었다. NHL은 두 번째 조별 예선이 시작되기 직전에 일정을 중단했고, 따라서 슬로바키아는 두 번 모두 최종 8개 팀에 들지 못했다. 이 일련의 사건들은 전체 하키 커뮤니티에 문제를 제기했고,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을 위해 규칙이 변경되었다.

2000년대 초 슬로바키아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성공적인 해를 보낸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2000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체코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예테보리에서 (지금까지) 유일한 우승을 차지했으며, 헬싱키에서 2003년 동메달을 확보한 후, 슬로바키아의 결과는 악화되었고 8강전에서 탈락하기 시작했다. 슬로바키아가 디비전 I으로 강등될 뻔한 가장 가까운 경우는 2008년이었는데, 강등 라운드에서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두 번의 승리를 거둔 덕분에 강등을 면했다. 그 후 2011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 슬로바키아가 브라티슬라바코시체에서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처음으로 개최한 대회를 포함하여 12강전에서 3번 연속 탈락했다.

그러나 예상 밖으로 슬로바키아는 201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헬싱키에서 다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8강전을 거치는 새로운 토너먼트 형식이 도입된 후 첫 번째 토너먼트였다. 여러 차례의 실패한 토너먼트 이후 이 메달이 나왔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이를 승리의 금메달과 같은 가치로 여겼다. 그러나 그 후 몇 년 동안 슬로바키아는 메달 성공을 반복하지 못했고, 2013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를 제외하고 8강 진출에도 실패했다.

이후 몇 년 동안, 팀은 3년 연속 8강 진출에 실패했다. 2017년에는 슬로바키아가 역사상 최악의 성적인 14위를 기록했으며, 이탈리아를 상대로 연장전 승리를 거두며 간신히 강등을 면했다. 성공적이지 못한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 크레이그 램지가 국가대표팀의 결과와 경기 스타일을 개선하기 위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2018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덴마크에서, 그리고 1년 후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8강 진출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팀의 전반적인 모습은 이전 몇 년보다 훨씬 나아 보였다. 최근 슬로바키아는 4번 중 3번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동계 올림픽에서 슬로바키아의 2022년 이전 최고 성적은 밴쿠버 2010에서 4위를 차지한 것이었다. 이 대회에서 그들은 강력한 러시아와 스웨덴을 상대로 승리했고, 준결승전에서 캐나다에, 동메달 결정전에서 핀란드에 패했다. 2022년에서 슬로바키아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스웨덴을 4-0으로 꺾고 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2. 1.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의 분리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이 결성되었다.[1][2][3][4] IIHF는 이전 체코슬로바키아 팀 선수 중 슬로바키아인이 더 적었기 때문에 슬로바키아가 풀 C에서 국제 경기를 시작해야 한다고 결정했지만, 슬로바키아는 하위 풀에서의 경기에서 1996년까지 풀 A로의 승격을 연이어 달성했다.[1][2][3][4]

슬로바키아의 엘리트 아이스하키 대회 첫 출전은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이었다. 페테르 슈ť아스니를 중심으로 한 슬로바키아는 조별 예선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8강전에서 연장전 끝에 러시아에 패했다.[1]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과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슬로바키아는 경기 일정 충돌로 인해 예선 라운드에서 내셔널 하키 리그(NHL) 선수들을 기용할 수 없었다. 이는 슬로바키아에게 큰 타격이었고, 결국 두 번 모두 최종 8개 팀에 들지 못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을 위해 규칙이 변경되었다.[1]

2000년대 초 슬로바키아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성공적인 해를 보냈다. 2000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체코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유일한 우승을 차지했으며, 2003년에는 동메달을 획득했다.[1] 그러나 이후 슬로바키아의 성적은 악화되었고, 2008년에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두 번의 승리를 거두며 강등을 면했다.[1] 2011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는 슬로바키아가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처음으로 개최한 대회였다.[1]

201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슬로바키아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선전했지만, 이후 몇 년 동안 2013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를 제외하고 8강 진출에 실패했다.[1] 2017년에는 14위를 기록하며 이탈리아를 상대로 연장전 승리를 거두며 간신히 강등을 면했다.[1] 이후 크레이그 램지가 감독으로 임명되어 팀의 경기력 개선을 꾀했다.[1] 2018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와 1년 후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8강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팀의 전반적인 모습은 이전보다 나아졌다는 평가를 받았다.[1]

동계 올림픽에서 슬로바키아는 밴쿠버 2010에서 4위를 차지한 것이 최고 성적이었다. 당시 러시아와 스웨덴을 상대로 승리했지만, 준결승전에서 캐나다에, 동메달 결정전에서 핀란드에 패했다.[1] 2022년에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스웨덴을 꺾고 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1]

2. 2. 초기 성장과 세계 무대 진출 (1994년 ~ 1996년)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은 체코슬로바키아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결성되었다.[1][2][3][4] IIHF는 이전 체코슬로바키아 팀 선수 중 슬로바키아인이 더 적었다는 이유로 슬로바키아가 풀 C에서 국제 경기를 시작해야 한다고 결정했지만, 슬로바키아는 연이은 승격으로 1996년 풀 A에 진출했다.[1][2][3][4]

슬로바키아의 엘리트 아이스하키 대회 첫 출전은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이었다. 페테르 슈ť아스니를 중심으로 한 슬로바키아는 조별 예선에서 1위를 차지했지만, 8강전에서 러시아에 패했다.

2. 3. 전성기 (2000년 ~ 2012년)

체코슬로바키아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이 결성되었다. 체코는 최고 풀(A)에서 경쟁할 수 있었지만, IIHF는 이전 체코슬로바키아 팀 선수 중 슬로바키아인이 더 적었기 때문에 슬로바키아가 풀 C에서 국제 경기를 시작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그러나 슬로바키아는 하위 풀에서의 경기에서 1996년까지 풀 A로의 승격을 연이어 달성했다.[1][2][3][4]

슬로바키아의 엘리트 아이스하키 대회 첫 출전은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이었다. 페테르 슈ť아스니를 중심으로 한 슬로바키아는 조별 예선에서 3승 2무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지만, 8강전에서 연장전 끝에 러시아에 패했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과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슬로바키아는 경기 일정 충돌로 인해 예선 라운드에서 내셔널 하키 리그(NHL) 선수들을 기용할 수 없었다. 이는 모든 작은 국가에 영향을 미쳤지만, 최고의 선수들이 NHL 팀 소속이었던 슬로바키아에게는 큰 타격이었다. NHL은 두 번째 조별 예선이 시작되기 직전에 일정을 중단했고, 따라서 슬로바키아는 두 번 모두 최종 8개 팀에 들지 못했다. 이 일련의 사건들은 전체 하키 커뮤니티에 문제를 제기했고,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을 위해 규칙이 변경되었다.

2000년대 초 슬로바키아가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성공적인 해를 보낸 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2000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체코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예테보리에서 (지금까지) 유일한 우승을 차지했으며, 헬싱키에서 2003년 동메달을 확보한 후, 슬로바키아의 결과는 악화되었고 8강전에서 탈락하기 시작했다. 슬로바키아가 디비전 I으로 강등될 뻔한 가장 가까운 경우는 2008년이었는데, 강등 라운드에서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두 번의 승리를 거둔 덕분에 강등을 면했다. 그 후 2011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 슬로바키아가 브라티슬라바코시체에서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처음으로 개최한 대회를 포함하여 12강전에서 3번 연속 탈락했다.

그러나 예상 밖으로 슬로바키아는 201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헬싱키에서 다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8강전을 거치는 새로운 토너먼트 형식이 도입된 후 첫 번째 토너먼트였다. 여러 차례의 실패한 토너먼트 이후 이 메달이 나왔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은 이를 승리의 금메달과 같은 가치로 여겼다. 그러나 그 후 몇 년 동안 슬로바키아는 메달 성공을 반복하지 못했고, 2013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를 제외하고 8강 진출에도 실패했다.

이후 몇 년 동안, 팀은 3년 연속 8강 진출에 실패했다. 2017년에는 슬로바키아가 역사상 최악의 성적인 14위를 기록했으며, 이탈리아를 상대로 연장전 승리를 거두며 간신히 강등을 면했다. 성공적이지 못한 세계 선수권 대회 이후 크레이그 램지가 국가대표팀의 결과와 경기 스타일을 개선하기 위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2018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덴마크에서, 그리고 1년 후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8강 진출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팀의 전반적인 모습은 이전 몇 년보다 훨씬 나아 보였다. 최근 슬로바키아는 4번 중 3번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동계 올림픽에서 슬로바키아의 2022년 이전 최고 성적은 밴쿠버 2010에서 4위를 차지한 것이었다. 이 대회에서 그들은 강력한 러시아와 스웨덴을 상대로 승리했고, 준결승전에서 캐나다에, 동메달 결정전에서 핀란드에 패했다. 2022년에서 슬로바키아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스웨덴을 4-0으로 꺾고 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2. 3. 1. 세계 선수권 대회

202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를 준비하기 위한 드레스덴에서의 프리시즌 경기: 슬로바키아 대 독일


선수권 대회경기연장전 승연장전 패득점실점코치주장결과순위
1920–1992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로
1996 빈51131316율리우스 슈플러오토 하슈차크조별 라운드10위
1997 헬싱키, 탐페레, 투르쿠83142023요제프 골론카즈데노 치게르컨솔레이션 라운드9위
1998 바젤, 취리히62221112얀 슈테르바크즈데노 치게르2라운드7위
1999 오슬로, 하마르, 릴레함메르62132221얀 슈테르바크즈데노 치게르2라운드7위
2000 상트페테르부르크9501033422얀 필츠미로슬라프 샤탄결승 은메달
2001 뉘른베르크, 쾰른, 하노버7300042018얀 필츠즈데노 하라8강7위
2002 예테보리, 칼스타드, 옌셰핑9710013722얀 필츠미로슬라프 샤탄우승 금메달
2003 헬싱키, 탐페레, 투르쿠9701014517프란티셰크 호사미로슬라프 샤탄3위 결정전 동메달
2004 프라하, 오스트라바950211249두샨 그레고르미로슬라프 샤탄3위 결정전4위
2005 빈, 인스브루크7401021917프란티셰크 호사미로슬라프 샤탄8강5위
2006 리가7301032614프란티셰크 호사마리안 호사8강8위
2007 모스크바740032423율리우스 슈플러미로슬라프 샤탄8강6위
2008 퀘벡 시티, 핼리팩스521021812율리우스 슈플러로베르트 페트로비츠키강등 라운드13위
2009 베른, 클로텐611221224얀 필츠류보시 바르테츠코2라운드10위
2010 쾰른, 만하임, 겔젠키르헨620041319 글렌 해년리하르트 린트너2라운드12위
2011 브라티슬라바, 코시체620041615 글렌 해년파볼 데미트라2라운드10위
2012 헬싱키, 스톡홀름1070033023 블라디미르 부이테크즈데노 하라결승 은메달
2013 스톡홀름, 헬싱키830142220 블라디미르 부이테크미로슬라프 샤탄8강8위
2014 민스크730132021 블라디미르 부이테크미로슬라프 샤탄조별 리그9위
2015 프라하, 오스트라바712221719 블라디미르 부이테크토마시 코페츠키조별 리그9위
2016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721041523즈데노 치게르안드레이 세케라조별 리그9위
2017 쾰른, 파리701241228즈데노 치게르블라디미르 드라베츠키조별 리그14위
2018 코펜하겐, 헤르닝730221920 크레이그 램지안드레이 세케라조별 리그9위
2019 브라티슬라바, 코시체731032819 크레이그 램지안드레이 세케라조별 리그9위
2020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취소됨[5]
2021 리가840041828 크레이그 램지마레크 졜로가8강8위
2022 헬싱키, 탐페레840042523 크레이그 램지토마시 타타르8강8위
2023 탐페레, 리가730221515 크레이그 램지마레크 흐리비크조별 리그9위
2024 프라하, 오스트라바831132929 크레이그 램지토마시 타타르8강7위
2025 스톡홀름, 헤르닝



; 2002년 선수 명단

높이 맞춤=위쪽 |높이 맞춤=위쪽 |



; 2012년 선수 명단

valign=top |valign=top |


2. 3. 2. 올림픽

슬로바키아 팀이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 스웨덴 남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승리한 것을 기념하고 있다.


슬로바키아는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전까지 체코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으로 올림픽에 참가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1920년 하계 올림픽부터 1992년 동계 올림픽까지 1932년 동계 올림픽을 제외한 모든 올림픽에 참가하였다.




슬로바키아 대표팀으로서는 1994년 동계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6위를 기록했다.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스웨덴을 꺾는 등 선전했지만 4위에 머물렀다.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첫 메달을 기록했다.




대회경기연장 승연장 패득점실점감독주장최종 순위
1920–1992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
1994 릴레함메르8402113529율리우스 슈플러페테르 슈차스트니6위
1998 나가노4101021113얀 슈테르바크즈데노 치게르10위
2002 솔트레이크시티4102011513얀 필츠미로슬라프 사탄13위
2006 토리노6500011911프란티셰크 호사파볼 데미트라5위
2010 밴쿠버731032218얀 필츠즈데노 차라4위
2014 소치40013516 블라디미르 부이텍즈데노 차라11위
2018 평창41012712 크레이그 램지토마시 수로비11위
2022 베이징731031916 크레이그 램지마레크 흐리비크 동메달
2026 밀라노-코르티나출전 자격 획득



총계
대회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계
80011


2. 4. 침체기와 재도약 (2013년 ~ 현재)

체코슬로바키아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리되면서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이 결성되었다. IIHF는 이전 체코슬로바키아 팀 선수 중 슬로바키아인이 더 적었기 때문에 슬로바키아가 풀 C에서 국제 경기를 시작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그러나 슬로바키아는 하위 풀에서의 경기에서 1996년까지 풀 A로의 승격을 연이어 달성했다.[1][2][3][4]

슬로바키아의 엘리트 아이스하키 대회 첫 출전은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이었다. 페테르 슈ť아스니를 중심으로 한 슬로바키아는 조별 예선에서 3승 2무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지만, 8강전에서 연장전 끝에 러시아에 패했다.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과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서 슬로바키아는 경기 일정 충돌로 인해 예선 라운드에서 내셔널 하키 리그(NHL) 선수들을 기용할 수 없었다. NHL은 두 번째 조별 예선이 시작되기 직전에 일정을 중단했고, 따라서 슬로바키아는 두 번 모두 최종 8개 팀에 들지 못했다. 이 문제는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을 위해 규칙이 변경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2000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체코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예테보리에서 유일한 우승을 차지했으며, 헬싱키에서 2003년 동메달을 확보한 후, 슬로바키아의 성적은 나빠졌고 8강전에서 탈락하기 시작했다. 2008년 강등 라운드에서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두 번의 승리를 거둔 덕분에 강등을 면했다. 그 후 2011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를 포함하여 12강전에서 3번 연속 탈락했다.

예상 밖으로 슬로바키아는 2012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헬싱키에서 다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8강전을 거치는 새로운 토너먼트 형식이 도입된 후 첫 번째 토너먼트였다. 그러나 그 후 몇 년 동안 슬로바키아는 2013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를 제외하고 8강 진출에도 실패했다.

2017년에는 슬로바키아가 역사상 최악의 성적인 14위를 기록했으며, 이탈리아를 상대로 연장전 승리를 거두며 간신히 강등을 면했다. 크레이그 램지가 국가대표팀의 결과와 경기 스타일을 개선하기 위해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2018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덴마크에서, 그리고 1년 후 자국에서 열린 대회에서 8강 진출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팀의 전반적인 모습은 이전 몇 년보다 훨씬 나아 보였다. 최근 슬로바키아는 4번 중 3번 녹아웃 스테이지에 진출했다.

동계 올림픽에서 슬로바키아의 2022년 이전 최고 성적은 밴쿠버 2010에서 4위를 차지한 것이었다. 2022년에서 슬로바키아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스웨덴을 4-0으로 꺾고 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2. 4. 1.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어떠한 내용도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대한민국)'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2. 4. 2.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wikitable

포지션이름
골키퍼마테이 토메크
골키퍼파트리크 리바르
골키퍼브라니슬라프 콘라드
수비수시몬 네메크
수비수미슬라프 로산디치
수비수페테르 체레쉬냐크
수비수사무엘 크냐슈코
수비수마틴 게르나트
수비수마틴 마린친
수비수미할 차이콥스키
수비수마레크 댤로가
포워드페테르 주진
포워드밀로쉬 켈레멘
포워드토마쉬 유르초
포워드미할 크리스토프
포워드마레크 흐리비크
포워드페테르 체흘라리크
포워드밀로쉬 로만
포워드사무엘 타카치
포워드마르코 다뇨
포워드유라이 슬라프코프스키
포워드리보르 후다체크
포워드파볼 레젠다
포워드크리스티안 포스피실
포워드아드리안 홀레신스키


3. 대회 기록

3. 1. 올림픽

슬로바키아는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로 독립한 이후 1994년 동계 올림픽부터 출전했다. 1994년 대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199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10위, 200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13위를 기록했다. 2006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5위를 기록했고, 2010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스웨덴 남자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을 상대로 승리하는 등 선전했지만 4위를 기록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11위에 그쳤다.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도 11위를 기록했다.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아이스하키 종목에서 사상 첫 메달을 획득했다.

대회경기연장 승연장 패득점실점감독주장최종 순위
1920–1992의 일부
1994 릴레함메르8402113529율리우스 슈플러페테르 슈차스트니6위
1998 나가노4101021113얀 슈테르바크즈데노 치게르10위
2002 솔트레이크시티4102011513얀 필츠미로슬라프 사탄13위
2006 토리노6500011911프란티셰크 호사파볼 데미트라5위
2010 밴쿠버731032218얀 필츠즈데노 차라4위
2014 소치40013516 블라디미르 부이텍즈데노 차라11위
2018 평창41012712 크레이그 램지토마시 수로비11위
2022 베이징731031916 크레이그 램지마레크 흐리비크 동메달
2026 밀라노-코르티나출전 자격 획득



총계
대회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계
80011


3. 2. 세계 선수권 대회

3. 2. 1. 승격 과정 (1994 ~ 1995)

디비전선수권 대회경기연장 승연장 패득점실점코치주장결과순위
C11994년 팝라트, 스피슈스카 노바 베스6420433율리우스 슈플러오토 하슈차크우승, 승격1위
B1995년 브라티슬라바77006015율리우스 슈플러페테르 슈ť아스니우승, 승격1위


3. 2. 2. 상위 디비전 (1996 ~ 현재)

슬로바키아는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분리 독립한 후 1995년에 디비전 C에서 승격하여 1996년부터 상위 디비전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996 빈 대회에서는 1승 1무 3패로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하며 10위를 기록했다. 율리우스 슈플러 감독이 이끌고 오토 하슈차크가 주장을 맡았다.

1997 헬싱키, 탐페레, 투르쿠 대회에서는 3승 1무 4패로 컨솔레이션 라운드를 거쳐 9위를 기록했다. 요제프 골론카 감독과 즈데노 치게르 주장이 팀을 이끌었다.

1998 바젤, 취리히 대회와 1999 오슬로, 하마르, 릴레함메르 대회에서는 얀 슈테르바크 감독과 즈데노 치게르 주장이 이끄는 슬로바키아가 2라운드까지 진출하여 각각 7위를 기록했다.

2000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회에서는 얀 필츠 감독과 미로슬라프 샤탄 주장의 활약으로 결승에 진출, 체코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슬로바키아 남자 아이스하키 역사상 최초의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이었다.

2001 뉘른베르크, 쾰른, 하노버 대회에서는 8강에서 탈락하여 7위를 기록했다. 얀 필츠 감독이 계속 팀을 이끌었고, 즈데노 하라가 주장을 맡았다.

2002 예테보리, 칼스타드, 옌셰핑 대회에서는 얀 필츠 감독과 미로슬라프 샤탄 주장이 이끄는 슬로바키아가 결승에서 러시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는 슬로바키아의 첫 번째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이었다.

2003 헬싱키, 탐페레, 투르쿠 대회에서는 프란티셰크 호사 감독과 미로슬라프 샤탄 주장이 이끄는 슬로바키아가 3위 결정전에서 승리하며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4 프라하, 오스트라바 대회에서는 3위 결정전에서 패하며 4위를 기록했다. 프란티셰크 호사 감독과 미로슬라프 샤탄 주장이 팀을 이끌었다.

이후 슬로바키아는 2011년 자국 대회를 포함하여 여러 대회에서 2라운드 또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며 10위권에 머물렀다.

2012 헬싱키, 스톡홀름 대회에서는 블라디미르 부이테크 감독과 즈데노 하라 주장의 활약으로 결승에 진출했으나, 러시아에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3 스톡홀름, 헬싱키 대회부터 2019 브라티슬라바, 코시체 대회까지는 8강 진출과 조별 리그 탈락을 반복하며 8~14위 사이를 오갔다.

2020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5]

2021 리가 대회부터 2024 프라하, 오스트라바 대회까지는 크레이그 램지 감독 체제 하에 8강 진출과 조별 리그 탈락을 반복하고 있다.

3. 3. 기타 국제 대회

3. 3. 1. 아이스하키 월드컵

wikitable

연도GP연장 승연장 패득점실점코치주장최종 순위순위
19963003919요제프 골론카1라운드7위
2004400004418얀 필츠8강8위



2016년 대회에는 슬로바키아가 참가하지 않았다. 대신 6명의 슬로바키아 선수가 슬로바키아 단장 미로슬라프 샤탄이 이끄는 유럽 대표팀의 일원으로 참가했다.

3. 3. 2. 도이칠란드 컵

'''금메달''' (1997, 2006, 2011, 2016, 2024)

은메달 (1994, 2001, 2017, 2021, 2023)

동메달 (2000, 2004, 2005, 2012, 2014, 2018)

4. 선수

wikitext

2024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 슬로바키아 대표팀 로스터이다.[6][7] 감독은 크레이그 램지이다.

No.포지션이름신장체중생년월일
6F루카시 칭겔1.87m88kg1992년 6월 10일코메타 브르노
7D마리오 그르만1.86m89kg1997년 4월 11일HC 비트코비체
13D프란티셰크 가이도슈1.80m85kg2001년 6월 7일HK 니트라
14D페테르 체레슈냐크 – A1.91m95kg1993년 1월 26일디나모 파르두비체
17D시몬 네메츠1.85m92kg2004년 2월 15일뉴저지 데블스
18F안드레이 쿠드르나1.89m95kg1991년 5월 11일HC 리트비노프
20F유라이 슬라프코프스키1.92m103kg2004년 3월 30일몬트리올 캐나디언스
21F밀로시 켈레멘1.88m96kg1999년 7월 6일투손 로드러너스
27F마레크 흐리비크 – A1.85m89kg1991년 8월 28일렉산드 IF
29D미할 이반1.85m90kg1999년 11월 18일빌리 티그르지 리베레츠
30G마테이 토메크1.91m83kg1997년 5월 24일HC 리트비노프
31G사무엘 흘라바유1.93m99kg2001년 5월 29일슈코다 플젠
33G스타니슬라프 슈코르바네크1.87m87kg1996년 1월 31일듀클라 미할로브체
34F페테르 체흘라릭1.88m94kg1995년 8월 2일렉산드 IF
42D마틴 페헤르바리1.87m92kg1999년 10월 6일워싱턴 캐피털스
48F빌리암 차초1.83m82kg1998년 10월 14일오체라르지 트르지네츠
56F마르코 다뇨1.82m96kg1994년 11월 30일오체라르지 트르지네츠
64D파트리크 코흐1.86m86kg1996년 12월 8일애리조나 코요테스
76F마틴 포스피실1.88m82kg1999년 11월 19일캘거리 플레임스
77F마틴 파슈코-루다슈1.85m82kg2000년 8월 10일빌리 티그르지 리베레츠
79F리보르 후다체크1.77m80kg1990년 9월 7일오체라르지 트르지네츠
87F파볼 레겐다1.92m99kg1999년 12월 7일샌디에이고 걸스
90F토마시 타타르C1.78m82kg1990년 12월 1일시애틀 크라켄
91F마투시 수켈1.76m77kg1996년 1월 23일HC 리트비노프
98D안드레이 골리안1.92m82kg2001년 3월 7일슬로반 브라티슬라바



'''최다 출장'''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도미니크 그라냐크2003–2020194102434
2미로슬라우 샤탄1993–20141838676162
3마르틴 슈트르바크1995–201116213922
4류보미르 세케라시1993–2001152292251
5페테르 푸헤르1995–200514423932
토마시 스타로스타2002–201814461016
7류보미르 비슈뇨우스키1994–2011141185270
8리하르트 카푸시1993–2007136162844
9스타니슬라우 야세치코1993–20001289615
10브란코 라디보예비치2003–2014124214061



'''최다 골 기록'''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미로슬라우 샤탄1993–20141838676162
2류보미르 콜니크1993–1999109591776
3요제프 다뇨1993–2000117452267
얀 파르다비1996–2006120451055
5블라스티밀 플라부하1993–200111944852
6마리안 호사1997–201488392463
7라디슬라우 나기2001–20191223765102
지그문트 팔피1993–201074374582
브라니슬라우 야노시1993–2000117371653
9페테르 본드라1993–20064735540
10즈데노 치게르1993–2003108342054



'''최다 포인트 기록'''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미로슬라우 샤탄1993–20141838676162
2라디슬라우 나기2001–20191223765102
3지그문트 팔피1993–201074374582
4파볼 데미트라1996–201177275178
5류보미르 콜니크1993–1999109591776
6로베르트 페트로비츠키1993–2008100284573
7류보미르 비슈뇨우스키1994–2011141185270
8요제프 다뇨1993–2000117452267
9토마시 수로비2000–2018122224365
10마리안 호사1997–201488392463



파볼 데미트라는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의 스타 선수였으며, 2011년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비행기 추락 사고의 희생자이다. 그의 등번호 38번은 슬로바키아가 개최한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국가대표팀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IIHF 세계 선수권 대회 슬로바키아 대표팀 로스터이다.[6][7] 감독은 크레이그 램지이다.

No.포지션이름신장체중생년월일
6F루카시 칭겔1.87m88kg1992년 6월 10일 코메타 브르노
7D마리오 그르만1.86m89kg1997년 4월 11일 HC 비트코비체
13D프란티셰크 가이도슈1.80m85kg2001년 6월 7일 HK 니트라
14D페테르 체레슈냐크 – A1.91m95kg1993년 1월 26일 디나모 파르두비체
17D시몬 네메츠1.85m92kg2004년 2월 15일 뉴저지 데블스
18F안드레이 쿠드르나1.89m95kg1991년 5월 11일 HC 리트비노프
20F유라이 슬라프코프스키1.92m103kg2004년 3월 30일 몬트리올 캐나디언스
21F밀로시 켈레멘1.88m96kg1999년 7월 6일 투손 로드러너스
27F마레크 흐리비크 – A1.85m89kg1991년 8월 28일 렉산드 IF
29D미할 이반1.85m90kg1999년 11월 18일 빌리 티그르지 리베레츠
30G마테이 토메크1.91m83kg1997년 5월 24일 HC 리트비노프
31G사무엘 흘라바유1.93m99kg2001년 5월 29일 슈코다 플젠
33G스타니슬라프 슈코르바네크1.87m87kg1996년 1월 31일 듀클라 미할로브체
34F페테르 체흘라릭1.88m94kg1995년 8월 2일 렉산드 IF
42D마틴 페헤르바리1.87m92kg1999년 10월 6일 워싱턴 캐피털스
48F빌리암 차초1.83m82kg1998년 10월 14일 오체라르지 트르지네츠
56F마르코 다뇨1.82m96kg1994년 11월 30일 오체라르지 트르지네츠
64D파트리크 코흐1.86m86kg1996년 12월 8일 애리조나 코요테스
76F마틴 포스피실1.88m82kg1999년 11월 19일 캘거리 플레임스
77F마틴 파슈코-루다슈1.85m82kg2000년 8월 10일 빌리 티그르지 리베레츠
79F리보르 후다체크1.77m80kg1990년 9월 7일 오체라르지 트르지네츠
87F파볼 레겐다1.92m99kg1999년 12월 7일 샌디에이고 걸스
90F토마시 타타르C1.78m82kg1990년 12월 1일 시애틀 크라켄
91F마투시 수켈1.76m77kg1996년 1월 23일 HC 리트비노프
98D안드레이 골리안1.92m82kg2001년 3월 7일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4. 2. 주요 선수

'''최다 출장'''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도미니크 그라냐크2003–2020194102434
2미로슬라우 샤탄1993–20141838676162
3마르틴 슈트르바크1995–201116213922
4류보미르 세케라시1993–2001152292251
5페테르 푸헤르1995–200514423932
토마시 스타로스타2002–201814461016
7류보미르 비슈뇨우스키1994–2011141185270
8리하르트 카푸시1993–2007136162844
9스타니슬라우 야세치코1993–20001289615
10브란코 라디보예비치2003–2014124214061



'''최다 골 기록'''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미로슬라우 샤탄1993–20141838676162
2류보미르 콜니크1993–1999109591776
3요제프 다뇨1993–2000117452267
얀 파르다비1996–2006120451055
5블라스티밀 플라부하1993–200111944852
6마리안 호사1997–201488392463
7라디슬라우 나기2001–20191223765102
지그문트 팔피1993–201074374582
브라니슬라우 야노시1993–2000117371653
9페테르 본드라1993–20064735540
10즈데노 치게르1993–2003108342054



'''최다 포인트 기록'''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미로슬라우 샤탄1993–20141838676162
2라디슬라우 나기2001–20191223765102
3지그문트 팔피1993–201074374582
4파볼 데미트라1996–201177275178
5류보미르 콜니크1993–1999109591776
6로베르트 페트로비츠키1993–2008100284573
7류보미르 비슈뇨우스키1994–2011141185270
8요제프 다뇨1993–2000117452267
9토마시 수로비2000–2018122224365
10마리안 호사1997–201488392463



출처: [http://www.hockeyslovakia.sk/sk/clanok/reprezentacni-rekorderi-podla-poctu-startov-v-drese-slovenska] [http://www.hockeyslovakia.sk/sk/clanok/reprezentacni-rekorderi-podla-poctu-strelenych-golov-v-drese-slovenska]

4. 2. 1. 선수 기록

'''최다 출장'''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도미니크 그라냐크2003–2020194102434
2미로슬라우 샤탄1993–20141838676162
3마르틴 슈트르바크1995–201116213922
4류보미르 세케라시1993–2001152292251
5페테르 푸헤르1995–200514423932
토마시 스타로스타2002–201814461016
7류보미르 비슈뇨우스키1994–2011141185270
8리하르트 카푸시1993–2007136162844
9스타니슬라우 야세치코1993–20001289615
10브란코 라디보예비치2003–2014124214061



'''최다 골 기록'''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미로슬라우 샤탄1993–20141838676162
2류보미르 콜니크1993–1999109591776
3요제프 다뇨1993–2000117452267
얀 파르다비1996–2006120451055
5블라스티밀 플라부하1993–200111944852
6마리안 호사1997–201488392463
7라디슬라우 나기2001–20191223765102
지그문트 팔피1993–201074374582
브라니슬라우 야노시1993–2000117371653
9페테르 본드라1993–20064735540
10즈데노 치게르1993–2003108342054



'''최다 포인트 기록'''
#성명연도출장어시스트포인트
1미로슬라우 샤탄1993–20141838676162
2라디슬라우 나기2001–20191223765102
3지그문트 팔피1993–201074374582
4파볼 데미트라1996–201177275178
5류보미르 콜니크1993–1999109591776
6로베르트 페트로비츠키1993–2008100284573
7류보미르 비슈뇨우스키1994–2011141185270
8요제프 다뇨1993–2000117452267
9토마시 수로비2000–2018122224365
10마리안 호사1997–201488392463



출처: [http://www.hockeyslovakia.sk/sk/clanok/reprezentacni-rekorderi-podla-poctu-startov-v-drese-slovenska] [http://www.hockeyslovakia.sk/sk/clanok/reprezentacni-rekorderi-podla-poctu-strelenych-golov-v-drese-slovenska]

4. 3. 영구 결번

파볼 데미트라는 슬로바키아 국가대표팀의 스타 선수였으며, 2011년 로코모티프 야로슬라블 비행기 추락 사고의 희생자이다. 그의 등번호 38번은 슬로바키아가 개최한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국가대표팀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5. 유니폼



6. 역대 감독

다음 표는 슬로바키아 아이스하키 국가대표팀의 역대 헤드 코치와 그들의 IIHF 세계 선수권 대회, 월드컵 오브 하키, 동계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포함)에서의 기록을 보여준다. 데이터는 2022년 5월 26일 경기를 기준으로 한다.[8]

이름연도GWOWTOLLGFGAW%PPG
율리우스 슈플러1993–1996291605171609255.21.31
요제프 골론카1996–1997830104202337.50.88
얀 슈테르바크1997–19991650407444631.30.88
얀 필츠1999–2002291613091067558.61.24
프란티셰크 호사2002–2006382405181336863.21.39
얀 필츠[9]2004400004418.0000.00
율리우스 슈플러2006–2008125106423550.01.42
얀 필츠2008–2010134225344246.21.38
글렌 핸론2010–2011124008293433.31.00
블라디미르 부이테크2011–201536142515949944.41.42
제데노 치게르2015–2017142228275128.60.86
크레이그 램지2017–4421231812512152.31.59


참조

[1] 웹사이트 Story #22 https://webarchive.i[...] 2024-01-21
[2] 웹사이트 Story #75 https://webarchive.i[...] 2024-01-21
[3] 웹사이트 Story #77–Recently separated, Czechs and Slovaks meet in World Championships final https://webarchive.i[...] 2009-03-11
[4] 웹사이트 IIHF - Brotherly but divided https://www.iihf.com[...] 2024-01-21
[5] 웹사이트 2020 IIHF Ice Hockey World Championship cancelled https://www.iihf.com[...] IIHF 2020-03-21
[6] 웹사이트 MS 2024: V záverečnej nominácii 25 hráčov, tím opustili Petrovický, Takáč a Lantoši https://www.hockeysl[...] hockeyslovakia.sk 2024-05-07
[7] 웹사이트 Team roster: Slovakia https://stats.iihf.c[...] iihf.com 2024-05-10
[8] 웹사이트 Slovenských hokejistov povedie Čech Vladimír Vůjtek http://www.pluska.sk[...] 2014-03-10
[9] 문서 Managed the team during [[2004 World Cup of Hockey]]
[10] 웹사이트 Juraj Okolicany 1943–2008 http://webarchive.ii[...] 2019-06-16
[11] 웹사이트 IIHF HoF 2008 http://webarchive.ii[...] 2019-06-16
[12] 웹사이트 Vo veku 65 rokov zomrel Juraj Okoličány, Golonka zarmútený http://www.hokejport[...] 2019-07-17
[13] 웹사이트 Zomrel Juraj Okoličány https://sport.noviny[...] 2019-07-17
[14] 웹사이트 Slovakia - National Teams of Ice Hockey https://nationalteam[...] 2023-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